연구의 비법: 파인만 알고리즘

수많은 문제를 해결하고 연구를 잘할 수 있는 비법이 있다. 내가 만든 비법은 아니다. 미국의 유명한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이 사용했다고 알려진 문제 해결법이다 1.

Feynman Algorithm
1. Write down the problem.
2. Think real hard.
3. Write down the solution.

파인만 알고리즘
1. 문제를 쓴다.
2. 진짜 열심히 생각한다.
3. 답을 쓴다.

참 쉽죠?
참 쉽죠?

나는 이 알고리즘을 대학을 갓 졸업했을 때 처음 접했다. 황당하다고 생각했고, 파인만 같은 천재들에게나 해당하는 문제 해결방법이라고 생각했다. 몇 년 후 시간이 흘러서, 대학원생일 때 이걸 다시 봤을 때는 2번 항목에 감명을 받았었다.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방법 중에, 저 방법 말고 다른 방법이 도대체 뭐가 있을까를 생각 했다. 열심히 생각하는 것 이외에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답을 아는 사람에게 물어 본다 따위가 있을 수 있겠으나, ‘직접’ 해결하는 방법은 아니다. (물론, 답을 아는 사람에게 물어 보는 해결 방법에서도, 누가 답을 알고 있을 것인지에 대해서 열심히 생각해 봐야 한다.)

여전히 2번에 대해서는 강한 동의를 하고 있지만, 가장 감명 깊은 부분은 1번 항목이다.

‘문제를 쓴다.’

이것은 내가 풀어야 할 문제가 정확히 무엇인지를 알고 있을 때만 할 수 있는 것이다. 당연하다. 문제가 뭔지 모르는 데, 문제를 어떻게 쓸 수가 있을까? 그런데, 많은 경우에 우리가 풀고 싶은 문제가 도대체 무엇인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 풀어야 할 문제를 정확히 알고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는 경우는 얼마 되지 않는다. 그래서 아무리 생각해 봐야, “문제”를 풀지도 못 하고, 소위 ‘삽질’만 하게 된다.

파인만이 제시한 문제 해결 방법 1단계, 2단계, 3단계는 같은 크기의 중요성을 갖는다고 생각한다. 두번째 단계가 가장 어려워 보이지만, 실제로는 첫번째도 그에 못지 않게 어려우며, 세번째도 어려움으로는 뒤처지지 않으며 비슷한 수준으로 중요하다.

파인만의 문제 해결 방법은 인생에서 맞닥뜨리는 모든 ‘일반적인’ 문제에 모두 적용된다고 생각하지만, 공부하고 연구하는 것에 국한시켜 이야기 해 보자.

공부를 하면서 만나는 많은 연습 문제들과 시험 문제들은, 1단계를 누군가가 잘 해 놓은 것이다. 문제는 아주 잘 씌여져 있다. 그래서 1단계가 필요없다. 대신, 이런 경우에 1단계는, 문제를 ‘잘’ 읽는 것이다. 그래서 문제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인지’ 해야 한다. 문제를 푸는 방법은 알고 있었는데, 문제를 잘 읽지 않아서, 잘못된 답을 해 본 경험이 꽤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래도, 이런 경우에는 조금만 조심하면 1단계는 비교적 쉽게 넘어갈 수 있다.

내가 1단계를 직접 해서, 문제를 써야 하는 경우는 굉장히 어려울 수 있다. 연구를 해서,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많은 연구 초심자들은 도대체 어떤 문제를 풀어야 하는지를 모를 때가 많다. 연구라는 것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은, 아예 감도 잡지 못 한다. 석사과정 학생들에게, 혹은 박사과정 학생들 까지도, 지도교수가 논문 주제를 던져주는 경우가 많은 이유이다. 어떻게 해야 도대체 ‘문제’ 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 지를 모른다.

조금 감을 잡았다고 해도, 여전히 문제를 정확히 기술 하는 1단계를 통과하기에는 많은 과정들이 남아있다. 예를 들어서, ‘대형 지진 발생 이후의 대처법’ 이라는 것에 대해서 관심이 생겨서 연구를 하기로 했다고 하자. 이것은 ‘연구 분야’가 될 수는 있을 지언정, ‘문제’는 전혀 아니다. 조금 더 범위를 좁혀서 ‘대형 지진 발생 이후의 적절한 구호 물자 운송방법’ 에 대해서 연구를 하기로 했다고 하자. 많이 좁혀졌지만, 아직 ‘문제’는 아니다.

이제 범위를 좁혔으니, 무엇이 정말 ‘문제’가 되는지를 알아야 한다. 사실 이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내가 ‘만들어낸’ 문제와 ‘실제로 발생하는’ 문제는 전혀 다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Financial calculus: an introduction to derivative pricing” 이라는 책의 서문에 보면, 많은 사람들이 잘못된 문제에 정확한 답을 찾기 위해서 헛수고를 하고 있다고 나온다 — finding precise answers to the wrong questions. 파인만 문제 해결법의 첫번째 단계에서 실수를 범했기 때문이다.

위에서 언급한 지진 발생 이후의 물자 운송방법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있을 법한 문제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A 라는 빈도로 z 라는 지역에서 구호 물자에 대한 수요가 발생할 때, 얼마나 자주 x 지역에서 z 지역으로 물자를 수송해야 할까?

이것은 ‘문제’ 이다. Problem 혹은 question 이긴 하지만, wrong question 일 수는 있다. 예를 들어서, 실제로 B 라는 지역에서 수요는 A 라는 빈도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AA 라는 빈도로 발생한다고 하면, 이것은 wrong question 이다.

어떤 아이디어를 가지고 논문을 쓰기 위해 연구를 하다가 “문제”가 풀리지 않아서 결국 포기 했던 것들도 꽤 많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거의 모두가 실제로는 문제를 찾을 수가 없을 때였다. 문제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고 있을 때는, 열심히 하면 — 비록 오랜 시간이 걸릴지라도 — 대부분 문제가 풀렸다. 논문은 아니지만,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한 것이 결과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경우, 소위 버그가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보자. ‘결과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어떻게 제대로 나오게 할 수 있을까?’는 좋은 문제가 아니다. 좋은 문제가 되기 위해서는 몇가지 단계로 나누어야 한다. (1) 어떤 결과가 제대로 나오고, 어떤 결과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가? (2) 결과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것은 잘못된 코드 때문인가, 혹은 잘못된 알고리즘 때문인가? 더 나아가서, 알고리즘이 풀려고 하는 문제 자체가 잘 못 된 것인가? 등으로 나누어서 문제를 정의 하고, 열심히 생각하면, 대부분 해결 된다.

연구는 사실 답을 찾는 과정이 아니라 문제 혹은 질문을 찾는 과정이다. 파인만 알고리즘의 가장 첫번째에 ‘문제를 쓴다’가 오게 된 것은 깊은 통찰력의 결과물이라고 믿는다1.

파인만은 위대하다.

(‘연구의 비법’편은 글 세 편 정도의 시리즈로 묶어볼 예정입니다.)

1. 사실은 머리 겔만(Murray Gell-Mann)이라는 동료 물리학자가 우스개 소리로 한 말이다.



* 블로그 내용을 정리하고 다듬어서 책으로 발간하였습니다. 리디북스, 교보문고, Yes24, 알라딘, 반디앤루니스 등의 온,오프라인 서점에서 종이책/전자책 구매 가능합니다.

* 이 글들은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이야기들 페이스북 페이지 를 통해 팔로우 하실 수 있습니다.

- 엄태웅님의 [페이스북], [블로그(한글)], [블로그(영문)]
- 최윤섭님의 [페이스북], [블로그(한글)], [브런치(한글)]
- 권창현님의 [페이스북], [블로그(한글)], [홈페이지(영문)]

내 연구하기

박사과정을 하다 보면, 언젠가 이런 말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

“나는 열심히 하는 데, 지도교수는 자꾸 이상한 소리만 하고, 교수가 졸업 준비를 시켜주지 않는다.”

혹은 조금 더 자세히 “나는 교수가 하라는 대로 이것도 하고 저것도 하고, 정말 열심히 했는데, 교수가 자꾸 논문 방향을 이리저리 바꾸기만 하고, 논문 진도는 안 나가고, 도대체 교수는 생각이 있는 건지, 이 교수 밑에서 배울 게 있는 건지, 내가 졸업이나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라고 말하게 될지도 모르겠다. 놀라울정도로 많은 박사과정 학생들이 이런 말을 하는 순간을 맞는다. 지도교수가 정상적으로 연구생활을 지속해 나가고 있는 분임에도 그런 경우가 많이 생긴다. 그 분의 연구 결과물이 세상을 놀래킬만큼 뛰어난 것이든, 그렇지 않든 말이다.

교수도 연구 활동을 계속 하고 계신 분이고, 그렇다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범죄를 저지르거나 흉폭한 ‘갑질’을 일삼는 분도 아니고, 학생은 열심히 했는데, 도대체 어디서 무엇이 잘 못 된 것일까?

일단, 교수가 하라는 대로 했기 때문에 문제다. 정확히는 교수가 뭘 하라고 말하게 놔둬서 문제다. 박사 학위 논문은 학생 본인이 쓰는 거다. 물론, 처음에는 지도교수가 이런 거 저런 거 하라고 하는 거 해 보면서, 연습도 하고 실력도 쌓고 논문도 읽으면서 준비를 하게 된다. 그런데, 이게 박사 말년차 때 까지 계속 된다면, 문제가 아주 심각해 진다. 교수는 일단 기본적으로 어떤 연구를 하면 성과를 내서 졸업을 할 수 있는지 잘 모른다. 어떤 주제를 어떤 방식으로 연구해서 졸업할 수 있을만한 (대체로, 출판할 수 있는) 논문을 쓸 수 있는지 안다면, 그건 이미 연구가 아니다. (아인슈타인이 말했다. “우리도 우리가 뭐하는지 잘 모르잖아요. 알면 연구 아니잖아요. 그렇잖아요.”) 그래서 일단 가슴 속에 명심하자. “교수는 아무 것도 모른다.” 물론 지도 교수 말고, 다른 교수들도 아무 것도 모르고, 이 세상 사람들 그 누구도 모른다. 알기 위해서 연구를 하는 거고, 그래서 박사학위를 주는 거다.

박사 과정에 들어간지 2~3년차가 되면, 일단 어느 정도 연구가 어떤 건지 감은 잡았다고 보고, 그 단계에 들어서면, 더 이상 논문의 주인이 교수가 되어서는 안 된다. 학생 본인이 주인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학생이 주인이 되기를 꺼려하고 있다면, 교수는 어쩔 수 없이 무언가 말을 하기 시작하고, 이것 저것 시켜보기 시작한다. 학생이 감을 잡고 연구 주제를 정하고 연구 방향을 정하고 연구 방법을 정하기 어려워 하는 것 같으면, 지도교수는 도와주기 위해서 당연하게도, 이것 저것 시도를 해보게 한다. 그러다가 학생이 언젠가 주인임을 선언하고 나서기를 기다리며. 그런데 이 시도라는 게 그야말로 시도다. 앞서 말했듯이, 교수도 뭔지 모른다. 그래서 자기가 생각하기에 가장 가능성 있어 보이는 몇 가지를 시켜볼 거다. 근데 당연히 안 될 가능성도 많다. 그래서 연구하는 거니까.

학생이 이 몇가지 시도를 해 보고 나서, 잘 안 되었을 경우에는 두 가지 반응이 있을 수 있다. 첫번째는, 관련 논문들을 읽어 보고, 다른 방안을 생각해 보고, 대안을 생각해서 교수에게 말한다. “이렇게 이렇게 해 볼까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그러면 교수는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아예 말이 안 되는건 아닌지를 따져 줄 거다. 이건 좋은 경우.

두번째는, 교수가 시키는 (사실은 시킨 게 아니고,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를 한 것) 대로 “열심히” 해 보고 안 됐기 때문에, 다시 교수를 만났을 때, “잘 안 되네요. 이제 어떻게 할까요?” 라고 물어 본다. 아주 안 좋은 경우다. 교수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은 뭔가 질문이 들어오면 대체로 대답을 해 준다. 왜냐하면, 학생의 질문에 답을 주려고 노력 하는 것이 직업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박사 수준의 연구에서 교수의 대답이라는 건 별로 믿을 게 못 된다. 왜냐하면, 교수도 잘 모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답이 아니다. 아마 “잘 안 되네요. 이제 어떻게 할까요?” 라고 물어보면, 교수는 또 뭔가 이것 저것 말 해 줄꺼다. 그러면 학생은 또 돌아가서 시킨 대로 열심히 해본다.

이 과정이 반복되다 보면, 당연히 논문은 진도가 안 나갈 것이고, 학생은 초조해 지기 시작할 것이다. 교수가 이런 말을 할 지도 모른다. “이 상태로는 졸업이 어렵습니다.” 아니 이게 무슨 소리인가? 학생은 교수가 시키는 대로 열심히 했는데, 맨날 했던 말을 “뒤집고”, 방향을 “바꾸고” 했던 것은 교수인데 왜 졸업을 못 시켜주겠다는 건가? 학생은 불평 불만이 아주 많을 것이고, 화도 날 것이고, 믿었던 도끼에 발등찍힌 기분일 것 이고, 여러가지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것이다. 황당하기도 할 것이다.

그런데, 교수는 “뒤집고”, “바꾸고” 했던 적이 없다. 학생의 도움 요청에 반응을 했을 뿐이다.

학생의 연구 내용은 그 학생이 가장 잘 안다. 연구의 큰 줄기는 지도 교수가 파악하고 있을 수 있으나, 세부적인 사항들은 당연하게도 학생이 가장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방향에 대해서 주도적으로 결정을 내려야 하는 것은 학생이다. 지도교수는 그저, 잘못된 결정을 내리지 않도록 도와줄 뿐이다.

지도교수가 자기 논문을 쓰게 만들면 안 된다. 자기 논문은 자기가 써야 한다. 물론 학생이 주도적으로 연구를 하고 방향을 정하고 여러가지 결정을 내려도, 졸업 후에 돌아보면, 결국 자기 논문은 지도교수가 기여한 것이 더 크다고 생각할 확률이 높다. 그래도 어쨌든, 학생은 자신이 주도적으로 자기 논문을 이끌어야 한다. 그래야 졸업할 수 있다. 그렇게 주도적으로 연구를 하는 사람에게 수여하는 것이 박사학위 이며, 주도적으로 연구를 하지 않으면 졸업논문을 완성할 가능성도 매우 낮을 것이다.

최종발표 때 지도교수를 놀라게 하지 말자.

학생이 주도적으로 연구를 해야 한다고 해서, 지도교수를 연구에서 배제하고 해도 된다는 말은 아니다. 적어도 지도교수는 학생이 어떤 주제의 연구를 어떤 흐름을 가지고 하고 있는지는 알아야 한다. 지도교수를 주기적으로 만나서, 자기가 어떤 주제로, 어떤 방법으로 연구를 하고 있고, 지금 상황은 어떤 상황이며, 졸업 논문 전체의 구성은 어떻게 될 것이며, 앞으로 시간 계획은 어떤 것인지를 끊임없이 업데이트를 시켜줘야 한다. 만일 교수가 생각하기에 문제가 될법한 것들이 있다면, 조금 더 자세히 물어 볼 것이며, 그것이 정말로 문제가 된다면, 교수가 지적을 해 줄 것이고, 어쩌면 해결 방법이 될 수도 있는 여러가지 대안들을 알려줄 것이다. 아무튼, 중요한 것은 교수는 학생의 연구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한다.

만일 지도교수가 학생의 연구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다면, 당연하게도, 학생 본인이 준비가 되었다 안 되었다를 어떻게 판단하든, 지도교수는 학생이 졸업할 준비가 안 되어 있다고 생각 할 것이고, 아마 뭐가 잘 못 됐다면서 연구를 다시 하라고 할 가능성이 높다. 끊임 없이 업데이트를 시키면서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최종발표를 하려고 하는 내용에 지도교수가 놀랄 만한 이야기가 있으면 안 된다.

간단하게만 업데이트 시키는 경우에도, 만날 때 마다 했던 이야기 또 해야 한다. 매주 혹은 2주마다 지도 교수를 주기적으로 만나는 학생의 경우에도 이런 불만을 터트릴 수 있다. 교수가 지난 미팅 때 했던 이야기를 전혀 기억 못 하고, 했던 이야기 또 해야 한다. 당연하다. 교수는 원래 학생 연구를 자세히 기억하지 못 한다. 학생은 교수랑 일대일로 만나는 거지만, 교수는 만나야 할 학생도 많고, 자기 연구 생각하는 것만 해도 기억해야 하는 것이 너무 많다. 교수가 학생 연구를 너무 잘 알고 있으면, 아마 그건 학생 연구가 아닐 거다. 교수 연구를 학생이 도와주고 있는 것일 뿐이다.

내 연구하기

많은 경우에, 특히 이공계 그 중에서도 생물학과 관련이 있는 분야에서, 지도교수가 전체 연구를 지휘하고 있는 가운데, 포닥과 박사과정 학생들이 어우러져서 몇 몇 부분의 실험과 분석을 맡아서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지도교수와 박사과정 학생이 일대일로 연구할 때도, 지도교수가 하고 있는 연구 프로젝트에 박사과정 학생이 그 연구에 참여하는 경우가 있다. 대체로 지도교수가 잘 알고 관심있는 분야의 연구 주제로 연구 제안서를 써서 연구재단 등으로 부터 연구비를 받아서 연구를 하고 있는 경우다. 그야말로, 위에서 말한 교수 연구를 학생이 도와주고 있는 경우다. 이 상황에서 학생이 자신의 연구를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지도교수가 지난 수년간의 연구해온 분야이니 이 연구 주제에 대해서 만큼은 지도교수가 이 세상에서 가장 잘 알고 있을터이니 지도교수가 시키는대로 실험해보고 그 결과를 보고 하는 것 이 외에 학생이 할 수 있는 것이 도대체 무엇이 있을까? 있으니까 묻겠지…

실제로 내가 ‘교수’로써 겪은 경험도 대체로 비슷하다. 내가 직접 연구 제안서를 써보니, 제안서가 완성이 되고 연구비를 받게 될 때 즈음이면, 이미 내 머리 속에서는 대체로 그 연구의 결말이 보인다. 제안서가 자꾸 떨어지다 보니 제안서 수정해서 반복해서 제출하는 시간 동안 연구가 끝났… 이런 문제를 이렇게 저렇게 해서 풀면 흥미로운 연구가 되겠지. 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직접 조금 해보기도 하고 그 방향이 희망적으로 보이면 제안서를 쓰게 되고, 그 제안서를 읽는 사람들도 방향이 희망적이라고 생각되면 연구비를 주기로 결정하는 것이니, 내가 제안서에 써 놓은 그 방법대로 열심히 실험하고 분석하면 끝날 일이 아닌가. 교수가 모든 부분을 다 할 수 없으니, 연구비로 학생을 고용하는 것이고, 그 학생이 내가 제안한 방법을 열심히 실행하면 되는 것이겠지.

그런데 왠 걸, 연구비를 받고 실제로 연구를 진행 해 보니, 생각지 못 했던 문제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아마 전체적인 연구방향은 잘 바뀌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충분히 경험 있는 교수가 A->B 라는 길이 되는 길이다 라고 생각했고 심사하는 사람들도 그 길이 말이 된다라고 동의했으면 웬만하면 그 길이 되는 길이리라. 하지만 B라는 최종 목적지에는 예상했던대로 도착하더라도, 실제로 A에서 B까지 가는 길은 굉장히 다를 수 있다. 그 길을 찾아가는 동안 학생이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많다. 심지어 생각과는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오고 그것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아주 새로운 연구가 탄생하기도 해서 A에서 출발했더니 B에 도착하는 것이 아니라 전혀 엉뚱한 M에 도착할 수 도 있다는 것이다.

조금 더 자세히, A라는 조건 아래에서 B라는 가설이 옳음을 보이는 것이 연구 프로젝트의 방향이라고 하자.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교수는 아마 제안서에 여러가지 가능한 방법을 제시했거나, 그 가설이 옳다는 신호를 보내는 몇 몇 선행 연구 결과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생각했던 방법을 적용해서 실제로 연구를 해 보면, 그 방법이 잘 안 되는 경우가 많다. 처음에 생각했던 대로 했더니 그 생각대로 다 잘 되는 연구는 아마 ‘뻔한 연구’일 수도 있고, 누군가 이미 다 해서 새로운 것이 별로 없는 연구일 수도 있다. 그래서 ‘재밌는’ 연구는 대체로 생각했던 대로 잘 안 된다. 이런 상황을 생각해 보면, B라는 가설을 세운 것은 교수의 연구이지만, 그 가설을 실제로 테스트하는 것은 학생의 연구일 수 있다.

제안된 방법으로 연구를 하다가 잘 안 되었을 이 때가, 연구원으로 참여하는 학생에게는 자신의 연구를 할 수 있는 기회이다. 좀 더 정확히는 자신만의 연구 문제를 찾을 수 있는 기회이다. “(지도교수가 제안서를 쓸 때도 고민을 했었고, 제안서를 심사했던 전문가들도 그에 대체로 동의를 했으니) 잘 될 것 같아 보이는 이 방법이 실제로는 왜 잘 안 될까?”를 묻고 그 이유를 알아내고, 새로운 방법을 찾아 보고 테스트하는 연구를 할 수 있다. 이런 일은 굉장히 흔하게 발생한다. 이 전까지는 지도교수의 연구를 학생이 도와주고 있었지만, 이제는 역전이다. 학생의 연구를 지도교수가 도와줄 차례이다.

내 연구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혹은 얼마나 사소한 것인지는 별로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 적어도 이 단계에서는 말이다. 아무리 사소한 것일지라도, 이 세상의 그 누구도 답을 준 적이 없는 물음에 내가 답을 찾아내는 과정이니 그 자체로 중요하다. 행여나 답을 찾아내는 데 성공이라도 했다하면, 그 순간 세상의 모든 것들이 달라 보일 것이다. 나의 작은 꺠달음이 이 세상을 달라 보이게 한다. 나의 연구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왔다는 것이 그 얼마나 흥분되는 순간인가!

물론 잘 안 된다. 연구에서는 잘 되는 경우보다 잘 안 되는 경우가 훨씬 많다. 고민에 고민을 거듭해서 한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 나면, ‘안 되는 것’ 혹은 새로운 문제점들이 몇 개는 더 생긴다. 아우 썅, 내가 진짜 한 번에 되는 꼬라지를 못 봤다.

잘 안 되면 지도교수와 의논하자. 지도교수는 그럴 때 쓰라고 있는 거다. 지도교수에게 물어보면 아마 또 몇가지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방안을 말해주겠지. 이 과정이 반복되다 보면, 당연히 논문은 진도가 안 나갈 것이고, 학생은 초조해 지기 시작할 것이다. [무한반복] 지도교수가 ‘시키는’ 일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시키는 것 이 외의 길을 찾지 않을 때와, 나의 작은 연구 주제를 찾아서 그 연구를 하기 위해 지도교수에게 조언을 구해 ‘제안받은’ 일을 해보는 것은 모든 것이 전혀 다르다. 지도교수와 함께 연구를 해 나가는 동반자가 된 것이고, 이 때 지도교수와 학생의 차이는 경험 말고는 없다.

이런 식으로 ‘내 연구’가 쌓이면 지도교수와 만나는 면담 혹은 회의 시간은 학생이 지도교수에게 가르침을 받는 시간이 아니라, 학생이 지도교수를 ‘개인교습’하는 시간으로 점점 바뀌게 된다. 교수는 몰랐던 문제에 대한 답을 학생이 알아내는 게 많아진다. 하산할 때가, 졸업할 때가 다가 온 것이다.

내가 길게 말 한 것이 정리가 잘 안 된다면, 한 가지만 기억하자. “교수도 잘 모른다.” 교수가 멍청해서 잘 모르는 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다 잘 모른다. 그래서 연구다. 한 가지를 더 기억할 수 있다면, 이 점을 명심하자. “그런데, 교수가 잘 알게 돼야, 학생이 졸업한다.”

이 글은 제가 이전에 썼던 글, “박사과정 학생이 유의해야 하는 점”“박사과정… 교수… 덧붙이는 글”을 재구성하여 쓴 글입니다.



* 블로그 내용을 정리하고 다듬어서 책으로 발간하였습니다. 리디북스, 교보문고, Yes24, 알라딘, 반디앤루니스 등의 온,오프라인 서점에서 종이책/전자책 구매 가능합니다.

* 이 글들은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이야기들 페이스북 페이지 를 통해 팔로우 하실 수 있습니다.

- 엄태웅님의 [페이스북], [블로그(한글)], [블로그(영문)]
- 최윤섭님의 [페이스북], [블로그(한글)], [브런치(한글)]
- 권창현님의 [페이스북], [블로그(한글)], [홈페이지(영문)]

좋은 학생, 나쁜 학생, 이상한 학생 (2편)

지난 글에서는 박사과정 기간을 제법 훌륭히 보낸 학생 A를 만나봤다. 이번 글에서는 다른 학생들을 만나보자.

학생 B

학생 B는 지도교수의 말을 주의깊게 들으며 존중할 줄 아는 심성을 가진 학생이었다. 지도교수는 학생보다 대체로 경험이 많고 연구하고 있는 문제에 대해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며 깊이 생각해본 적이 있는 사람이다. 분명 학생이 지도교수의 말을 존중하는 것은 필요하다. 다만 학생 B는 그 정도가 지나쳐서 지도교수가 말하지 않았던 부분에 대해서 시간을 보내거나 의견을 내거나 새로운 시도를 해보거나 하는 일은 단 한 번도 없었다. 이 학생은 매주 정해진 미팅시간 이 외에 지도교수를 찾아오는 일은 없었다. 서류처리 따위를 위해서 지도교수의 서명이 긴급히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면 말이다.

미팅시간에는 주로 학생과 교수가 몇가지 아이디어에 대해서 의논하다가, 그 중 가장 괜찮아 보이는 아이디어에 대해서 더 깊이 생각해보고, 한 번 간단히 시도해보고 잘 될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해보자라는 식으로 마무리짓곤 한다. 학생 B는 ‘그 괜찮아 보이는 한가지 아이디어’에 대해서 ‘미팅 시간에 의논했던 그 간단한 시도’를 적당히 해 본 뒤 그 다음 미팅시간까지 기다렸다. 시간이 얼마가 걸렸건, 실패를 했건 성공을 했건 상관없이 말이다. 자신이 직접 판단해서 무언가 모험적인 시도를 하는 일은 단 한 차례도 없었다.

이 학생과는 2년 정도를 그렇게 보냈다. 연구가 진척이 있었을리 없었고, 학생과 나 모두 지쳤다. 결국 이 학생은 박사과정을 끝까지 마치지 못하고 중도에 그만둬야했다. 이 학생이 그만두게 되는 과정에서 학과의 대학원생 지도를 총괄하는 교수님과 면담을 한 일이 있었는데, 그 자리에서 지도교수의 의견에 ‘아니오’라고 해도 된다는 사실을 전해듣고 놀랐다고 했다.

학생 C

학생 C는 중도에 지도교수에게 더 이상 같이 일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고, 중간에 지도교수를 바꿔야 했던 학생이다. 학생 C는 수업 성적도 좋았고, 연구와 관련된 여러가지 일들도 제법 잘 하는 학생이었다. 지도교수와 여러가지 연구 및 개발 프로젝트를 했고, 그 일을 바탕으로 논문도 출판했다. 다만, 중간 중간 갑자기 연락이 안되고 사라지는 일들이 종종 있었다. 한 번은 논문 제출 기한을 한 달여 앞두고 막바지 작업에 몰두하고 있던 차에 이 학생과 연락이 안되는 일이 발생했다. 결국 논문 제출 기한을 넘겨서 다시 나타났다. 화가 난 지도교수가 추궁을 하니, 인터넷 및 전화가 되지 않는 산악 지대에 있는 국립공원에서 야영장 관리 자원봉사를 하러 갔다고 했다. 학생 C는 더 이상 그 지도교수와 일할 수 없었고, 다른 지도교수를 찾아야했다.

학생 D

학생 D는 수업 성적이 아주 좋은 학생이었다. 학과 내 다른 대학원생들과 비교했을 때 수업 성적으로는 최상위 5% 내에 들어가는 학생이었다. 학부과정과 석사과정을 좋은 대학에서 보내고 박사과정에 진학했다. 이 학생이 박사과정 1년차 때 들었던 수업에서는 모두 최고 성적을 받았으며, 이 학생을 가르쳤던 교수들은 아낌없는 칭찬을 보냈다.

이 학생은 무사히 졸업 하긴 했으나, 이 학생과 함께 했던 연구가 썩 즐겁진 않았다. 정해진 연구 회의 시간을 미루는 일이 잦았고, 연구가 진행되는 속도도 더뎠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었겠으나, 내가 의심컨데 학생 D는 전형적으로 ‘강의실에서는 두각을 나타내지만 연구실에서는 그렇지 못하는’ 박사과정 학생이었다. 답이 있음이 잘 알려진 연습문제를 교수가 알려주는 방법으로 ‘열심히’하기만 하면 잘 되는 수업에서는 정확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공부하지만, 연구는 그렇지 않음에 어려움을 느꼈던 게 아닐까 한다. 그래서 연구에 집중하지 못 하고 결국 소홀히 하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한다. 연구에서는 답도 없고 정해진 시간도 없다. 동기부여도 부족했고 그로 인해 시간 관리도 잘 하지 못 한 것 같다.

학생 E

학생 E도 학생 D와 비슷했다. 수업시간에 최고의 두각을 나타내는 학생이었다. 해야 하는 연구가 있음에도 불구 하고, 연구보다는 수업 성적에 더 신경을 쓰는 듯 보였다. 학생 D와 비슷한 어려움을 겪는 듯 했으나, 그보다는 훨씬 더 좋은 연구를 했고 더 좋은 성과를 냈다. 내가 판단컨데 가장 큰 차이점은 학생 E는 지도교수의 연구실에 자주 찾아와서 여러가지 질문을 하고 의논을 한 것이 아닐까 한다. 학생 D는 연구와 관련된 궁금증으로 지도교수의 연구실을 방문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학생 A만큼 자주 왔던 것도 아니고 질문이 잘 정리되어 있지도 않았지만, 학생 E는 자주 찾아와서 연구와 관련된 궁금한 점들을 물어보면서 자기 연구를 해나갔다. ‘강의실 모드’에서 ‘연구실 모드’로 바뀌는 데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렸지만, 결국 그 지점에 다다를 수 있었다.

학생 F

학생 F도 중간에 지도교수를 바꿔야했다. 처음 만난 지도교수와는 1년 정도를 같이 보냈는데, 그 지도교수가 불같이 화를 내며 이 학생과는 더 이상 같이 할 수 없음을 통보했다고 한다. 상심 끝에 새로운 지도교수를 찾는 과정에서 나와 연락이 되었고 함께 해보기로 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나는 이 학생과의 연구를 굉장히 즐겼다. 학생 A만큼 독립적인 학생은 아니었지만, 언제나 나의 기대를 넘어서는 성과를 보였다. 연구 성과가 나왔을 때면 다음 주의 미팅 시간 까지 기다리지 않았다. 이메일로 소통을 했고, 때로는 내 연구실에 찾아와서 연구 진행 사항에 대한 여러가지 의견을 내기도 했다. 미팅 시간에 정한 ‘이번주에 해보기로 한 것들’을 마치자마자 그 다음을 바라보고 자신만의 판단으로 여러가지 실험을 하기도 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기도 했다. 또, 내가 ‘참’이라고 믿었던 몇가지 생각의 오류를 발견해 내기도 했다. 물론 자신의 생각에 대한 오류도 자기 스스로 발견해내기도 했다.

이런 학생은 교수에게 굉장히 큰 힘이 된다. 나는 이 학생을 신뢰할 수 있는 동반자로 생각했다. 교수의 의견을 적절한 선에서 존중하여 말을 귀길울여 듣되,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의 생각을 의심할 줄 알았다. 내가 제안했던 방법이 잘 되었을 경우에는 그 다음 단계를 미리 보고 자신 만의 로드맵을 만들어 나갔으며, 내가 제안한 방법이 잘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자신만의 대안을 만들고 시험할 줄 알았다. 연구는 그 누구도 답을 갖고 있지 않는 물음에 대한 답을 찾아나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교수라고 다 알 수는 없다. 언제나 100% 확신을 가지고 연구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교수도 자신의 생각이 맞는지 틀리는지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스스로 오래 반복해서 생각해보거나, 혹은 주위의 동료 연구자의 의견을 물으면서 검증해나간다. 그 ‘동료 연구자’가 내 지도학생이라면 아주 큰 힘이 된다. 나는 학생 F가 굉장히 자랑스럽고, 이 학생을 지도하면서 많은 기쁨을 누렸다.

이 학생이 왜 첫번째 지도교수에게 이별통보를 받아야만 했는지는 잘 모른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이 학생이 성장했을 수도 있을 것이고, 단지 그 지도교수와 잘 맞지 않았을 수도 있다. 어찌됐건 학생 F는 성공적인 박사과정 기간을 보냈다.

내가 바라는 박사과정 학생

내 생각에 박사과정 기간을 가장 훌륭히 보냈던 학생은 학생 A와 학생 F인 것 같다. 다른 학생들이라고 지금 인생을 잘 못 살고 있는가 하면 그렇지는 않다. 박사과정 기간에서만 봤을 때 그렇다는 것이다. 내가 새로운 박사과정 학생을 뽑을 때 바라는 학생 유형은 역시 학생 A 또는 학생 F이다. 그러면 그 학생들은 어떤 학생들이었나를 돌아보면 나는 두 가지로 정리한다. 호기심과 책임감.

교수들마다 박사과정 학생에게서 보고자 하는 점들이 다르겠지만, 나는 ‘호기심’ 있고 ‘책임감’ 있는 학생을 바란다. 글에서 계속해서 학생이 지도교수를 얼마나 자주 찾아오는가를 강조했다. 연구에 어려움이 생겼을 때 지도교수를 찾아오지 않고 무작정 다음 미팅 시간을 기다리는 학생을 볼때면 ‘궁금해서 어떻게 기다리지?’ 하는 의문이 생긴다. 지도교수가 제안한 방법이 잘 되지 않았을 때, 자신이 스스로 해결 방법을 찾아보지 않는 학생을 볼 때도 마찬가지다. 지도교수의 생각대로 잘 되지 않은 이유가 왜 궁금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든다. 나는 이런 것들을 궁금해하며 해결책을 찾아내거나 이유를 알아내지 않고서는 견딜 수가 없는 학생을 바란다. 책임감이야 두말할 것도 없다. 자신의 연구는 자신의 것이라는 책임감을 가지고 임하다 보면 없던 호기심도 생길 것이라고 생각한다. 창의성은 그 다음 문제다. 창의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면 좋겠지만, 모든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기는 가능하지도 않고 그렇게 할 필요도 없다.

다른 학생들

위에 소개한 학생들은 내가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경험한 학생들이다. 다른 분들의 글 속에서도 참고할만한 사례가 있으니 소개한다.

먼저 “Applying to Ph.D. Programs in Computer Science”라는 글에 나오는 사례다.

Student X comes from famous school Y in country Z, where he was ranked 5th out of over hundreds of thousands of students and #1 in his college graduating class. The student comes to graduate school expecting to be the best and starts working very hard on research. By the end of his first or second year, the student realizes that he has not yet published any papers. His friends and family from home start asking what’s wrong with him. He feels frustrated and ashamed. He blames his advisor, he blames his department, he blames his school. Finally, he grows up and accepts the fact that maybe he’s not the best, but he can still do well if he works hard. He starts listening better, works harder, and ends up quite successful.

이 문서의 두 번째 장은 “Do I really want a Ph.D.? What does a Ph.D. entail?”라는 제목으로 되어 있는데, 박사과정을 고민하거나, 이미 박사과정에 들어온 학생들이라면 꼭 한 번씩 읽어 보길 권한다. 단어 하나 놓칠 것이 없다.

두 번째 참고할만한 사례는 “So long, and thanks for the Ph.D.!”이라는 글에 나온다.

At UNC, there is a famous anecdote about a former UNC graduate student named Joe Capowski. Many years ago, UNC got a pair of force-feedback mechanical arms to use with molecular visualization and docking experiments. The problem was how to move them to UNC. These mechanical arms were large, heavy beasts, and were in Argonne National Labs in Chicago, IL. Unfortunately, there was a trucker’s strike going on at the time. Joe Capowski, on his own initiative (and without telling anyone), flew out to Argonne, rented a truck, drove the mechanical arms all the way back to North Carolina, and then handed the computer science department the bill! Many years later, Joe Capowski ran for the Chapel Hill city council and won a seat. Prof. Fred Brooks gave him an endorsement. I still remember the words Dr. Brooks said: “I may not agree with his politics, but I know he’ll get things done.” (Thanks to Jim Lipscomb for corrections to this anecdote.)

While the Joe Capowski anecdote is perhaps a bit extreme, it does show that it is often better to ask forgiveness than permission, provided you are not becoming a “loose cannon.” Certain universities (e.g. MIT) are good at fostering a “can do” attitude among their graduate students, and therefore they become more assertive and productive. One of the hallmarks of a senior graduate student is that he or she knows the types of tasks that require permission and those that don’t. That knowledge will come with experience. Generally, the senior graduate students have the most freedom to take initiative on projects. This privilege has to be earned. The more that you have proven that you can work independently and initiate and complete appropriate tasks, the more your professors will leave you alone to do what you want to do.

이 문서 역시 읽어보고 음미할 부분들이 많다. 일독을 권한다.



* 블로그 내용을 정리하고 다듬어서 책으로 발간하였습니다. 리디북스, 교보문고, Yes24, 알라딘, 반디앤루니스 등의 온,오프라인 서점에서 종이책/전자책 구매 가능합니다.

* 이 글들은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이야기들 페이스북 페이지 를 통해 팔로우 하실 수 있습니다.

- 엄태웅님의 [페이스북], [블로그(한글)], [블로그(영문)]
- 최윤섭님의 [페이스북], [블로그(한글)], [브런치(한글)]
- 권창현님의 [페이스북], [블로그(한글)], [홈페이지(영문)]

좋은 학생, 나쁜 학생, 이상한 학생 (1편)

지난 수년간 교직에 있으면서 다양한 배경과 성격의 박사과정 학생들을 만나봤다. 내가 지도했던 학생들도 있고 내가 강의했던 수업을 통해서 그리고 박사논문 심사위원으로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었던 학생들도 있다. 그 중 몇몇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학생 A

이 학생은 석사과정 중에 처음 만났다. 내가 강의했던 — 대체로 박사과정 학생들이 듣는 — 수업을 통해서 만났다. 그 학생은 수업 중에 그리 빛나는 학생은 아니었다. 시험 성적이 아주 우수하지도 않았고 수업 중에 나를 애먹일만한 날카로운 질문을 하는 학생도 아니었다. 하지만, 나는 이 학생과 함께 일하고 연구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석사과정 학생이든 박사과정 1년차 학생이든 수업 중에 눈에 들어오고 지도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학생은 주로 시험 성적이 좋거나 수업 중에 질문과 토의를 통해서 날카로움을 보여주는 학생이다. 그런데 왠일인지 나는 이 학생과 일하고 싶었다.

이 학생은 다른 박사과정 학생들 틈에서 공부하는 것이 그리 녹록치는 않았던지, 내 사무실로 종종 찾아와서 여러가지 질문들을 했다. 나는 이 학생과 강의실이 아닌 내 사무실에서 만나면서 호감이 생겼다. 이 학생은 나를 만날 때, 궁금한 질문의 목록을 미리 작성해서 왔다. 차례대로 숫자가 매겨진 목록이였다. 그리고 그 질문들은 내가 강의한 내용의 중심 줄거리가 되는 부분의 맥을 정확하게 짚는 것들이었다. 비록 내가 가르치고자 했던 바를 순식간에 알아듣거나 그것을 넘어서서 날카로운 질문들을 쏟아내는 학생은 아니었지만, 묵묵히 자기만의 페이스로 정확히 맥을 짚어가며 공부를 하던 중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시험성적은 여전히 좋지 못했고, 나는 최종적으로 이 학생에게 ‘B-‘를 줬다. 대학원에서는 아주 나쁜 평점이다. 그러나 나는 이 학생이 마음에 들었다.

그 수업이 열렸던 학기가 끝나기도 전에 나는 그 학생에게 함께 연구할 것과 석사 학위 논문을 쓸 것을 제안했다. 거절당했다.

자신은 연구에 큰 관심이 없고 수업석사과정에 필요한 학점을 채워서 최대한 빨리 졸업하는 것이 목표라는 이유였다. 박사과정에 갈 일도 없으니 석사 학위 논문이 필요하지도 않단다. 하지만 한 번 생각은 해보겠다고 했다. 수업과 관련된 질문 때문에 내 사무실에서 만날 때 종종 연구에 대한 이야기를 했고, 내가 생각하고 있는 연구주제에 대해서 소개해주기도 했다. 학기가 끝나고나서야 연구에 대한 관심이 생겼는지 내가 말한 연구주제로 석사 학위 논문 연구를 해보겠다고 했다. 연구주제에 대해 꽤 자주 이야기해왔던 터라 당장 연구를 시작할 수 있었다.

연구를 진행하던 도중 첫번째 걸림돌은 데이터였다. 필요한 데이터는 정부 웹사이트에 우리가 원하는 형태로 정리되어 있지 않은 채 여기저기 흩어져있었다. 데이터 수집이 만만치 않았다. 하지만 이 학생은 자신의 연구에 이 데이터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고, ‘노가다’를 두려워하지 않았다. 엑셀 스프레드시트 한 페이지에 불과한 데이터를 모으기 위해서 두어달을 꼬박 보냈다.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공적으로 연구를 마무리 할 수 있었다.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만났는데, 여전히 잘 정리된 질문 목록을 가지고 다녔고, 내가 이야기 해주는 것들을 미팅 중에 요즘을 잘 파악하여 정리해 노트에 받아쓰곤 했다. 그리고 자신이 다음에 해야 할 일도 명확히 해서 노트에 정리했다.

나는 이 학생이 마음에 들었기에 석사 학위 논문 연구를 하는 중간중간에도 박사과정 진학을 제안했다. 거절당했다.

여러 개인 사정에 대한 이유도 있었지만, 아직 연구라는 것에 ‘박사과정’이라는 긴 시간을 투자할 확신이 없다고 했다. 석사 학위가 끝날 즈음에 연구가 꽤 재미있는 것 같다면서 박사과정 진학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기뻤지만 안타깝게도 당시에는 나는 이 학생을 지원할 연구비가 없었던 상황이었다. 학과에 요청했더니 다행스럽게도 수업조교 자리를 얻을 수 있었다.

박사과정에 들어와서 첫 연구는 석사 연구의 후속연구였다. 중간 중간 몇몇 어려움이 있었지만, 잘 알고 있는 연구 주제였기 때문에 큰 탈 없이 잘 마무리 할 수 있었다. 석사 연구와 박사과정의 첫 연구는 이 학생의 많은 노력으로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었지만, 나는 그 두 논문을 이 학생의 논문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내 논문으로 생각한다. 두 사람의 공동연구이기는 하지만 굳이 따진다면 말이다. 기본 아이디어 구상부터 실제 글쓰기 까지 많은 부분이 내 손을 거쳤다. 대부분의 박사과정 학생의 논문이 이런식이다. 지도교수의 손과 머리를 많이 거친다. 전공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적어도 내 전공에서는 그렇다. 그런데 이 학생A의 박사학위 논문은 좀 달랐다.

박사과정 첫 연구를 마무리 할 때 즈음, 이 학생이 자기는 전혀 다른 분야의 연구에 흥미가 생겼고 그 쪽으로 연구를 계속하고 싶다고 했다. 나는 이 학생에게 연구 주제 전환의 장단점을 이야기 해줬다. 주로 앞으로 벌어질 어려움에 대한 단점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았다. 지도교수인 내가 잘 알고 있는 분야가 아니므로 세세한 지도는 어렵다는 점과 연구가 어려움에 빠졌을 경우 내가 좋은 해결 방안을 가지고 있지 못할 수 있다는 점 등에 대한 이야기였다. 이 학생의 새로운 연구 분야에 대한 관심은 대단했고, 결국 그 분야로 연구를 진행했다. 다행히 몇 몇 학회 참석에서 주워들은 것들이 있었기에, 나도 처음에는 몇 가지 이야기들을 해줄 수 있었다.

연구를 시작하고 연구 방향을 어느정도 잡았을 즈음, 또 다시 데이터 수집에 대한 문제가 생겼다. 여러 경로를 통해 이 학생은 필요한 데이터를 모으기 위해서 알아봤다. 주변의 연구센터에 문의하기도 했고, 여러 관련 연구자에게 연락을 취해서 물어보기도 했다. 아무런 성과가 없었다. 결국 직접 수집하기로 했다. 이번엔 웹사이트 몇 군데 돌아다니면서 수집한다고 되는 일은 아니었다. 실험을 해서 그 결과를 발표한 논문을 하나씩 찾아서 읽어보고 보고된 수치 한 두개를 기록해야 하는 일이었다. 천편이 넘는 논문을 검토해야하는 상황이었다. 다른 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유사한 연구에 대해서 들을 수 있었는데, 거기에선 수많은 학부생 연구원을 고용해서 한다고 들었다. 안타깝게도 나는 수많은 학부생 연구원을 고용할 수 있는 연구비가 없었던 터라, 학생A는 혼자서 해결할 수 밖에 없었다.

1년 정도 걸렸다. 그 기간 동안 수학적 모델을 손보고 연구 방향을 수정하는 등 많은 일을 하긴 했지만, 기본적으로 데이터 수집에만 1년이 걸린 셈이다. 수학 모델을 바탕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을 만들고 실험에 들어갔다. 2년 정도가 더 지나서 이 학생은 학위 논문을 완성할 수 있었고 무사히 졸업할 수 있었다. 학회에서는 최우수 논문상을 받기도 했다.

이 학생은 내가 만난 학생 중 박사과정을 굉장히 성공적으로 잘 보낸 학생들 중 한 명이다. 그 이유를 알아보는 것이 박사과정을 지낼 분들께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곰곰히 생각해 본 뒤 내가 내린 결론은 이 학생은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았다라는 것이다. 내가 이 학생의 개인적인 삶의 세세한 부분까지는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으나, 적어도 박사과정, 연구와 관련된 것들에 대해서 만은 절대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자신이 하고 싶은 방향대로 이끌어 나갔다. 자신의 연구를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던 것이다. 이 학생의 박사 학위 논문에 내가 직간접적으로 기여한 바가 없지는 않으나, 나는 이 학생의 학위 논문은 온전히 그 학생의 것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어떤 박사과정 학생이 성공적으로 학위 과정을 잘 마칠 수 있을 것인지, 그렇지 않을 것인지를 가늠해 보는 잣대로 삼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지도교수와 얼마나 자주 연락을 취하고 싶어 하고 의사 소통을 하고 싶어하는지이다. 나는 학생들과 매주 정기적으로 개별 미팅을 갖고 있다. 어떤 학생은 그 사이에 아무런 연락이 없다. 이메일을 보내지도 찾아 오지도 않는다. 하던 일이 끝나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하거나 막힌 부분이 있어서 같의 의논해야 하는 일이 있더라도 다음 주에 있을 정기 미팅 시간 까지 기다린다.

하지만 어떤 학생들은 미팅을 갖고 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연락이 오거나 다시 찾아온다. 미팅이 끝난 뒤에 곰곰히 생각해보니 뭔가 정리가 덜 된 부분이 있었던 거다. 그리고 그 다음 주 까지 기다리지도 않는다. 연구를 진행하다가 좋은 결과가 있으면 기쁜 마음으로, 혹은 또 다시 걸림돌이 생기면, 그에 대한 대화가 필요해서 등 여러가지 이유로 이메일이 오거나, 추가적인 개별 미팅을 요청 하기도 하고, 지나가다 내 사무실로 불쑥 찾아 오는 일도 있다. 자신의 연구를 진행해야 되는데, 막힌 부분이 생겼고 자신의 힘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으니 지도교수의 도움 혹은 의견이 필요한 일이 생겼고, 다음 주까지 도저히 기다릴 수가 없는 것이다.

학생A가 바로 그랬다. 지나가다가 내 사무실의 문이 열려 있으면 불쑥 찾아와서 질문을 던지고 의견을 구하는 일이 많았다. 횡설수설하는 경우는 없었다. 잘 정리된 질문을 던졌다. 그만큼 자신의 연구에 대해서 잘 파악하고 있고, 충분히 생각을 해 봤기 때문일 것이다. 다른 사람이 아닌 자기 자신의 연구를 했다. 처음 시작의 아이디어가 자신의 아이디어였든, 지도교수의 아이디어였든, 자신의 연구를 했다.

박사과정은 학생이 자신의 연구를 하기 위해서 지도교수의 경험과 시간을 빌리는 곳이다. 이 학생A는 아주 좋은 예다.



* 블로그 내용을 정리하고 다듬어서 책으로 발간하였습니다. 리디북스, 교보문고, Yes24, 알라딘, 반디앤루니스 등의 온,오프라인 서점에서 종이책/전자책 구매 가능합니다.

* 이 글들은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이야기들 페이스북 페이지 를 통해 팔로우 하실 수 있습니다.

- 엄태웅님의 [페이스북], [블로그(한글)], [블로그(영문)]
- 최윤섭님의 [페이스북], [블로그(한글)], [브런치(한글)]
- 권창현님의 [페이스북], [블로그(한글)], [홈페이지(영문)]

프롤로그: 개구리가 올챙이에게

본격 꼰대질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대학원 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글과 책은 언제고 쓰고 싶었지만, 공동 집필 프로젝트에 덥석 참여하기로 하고 나서 아무리 생각해봐도, 이건 꼰대질이 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든다. 박사학위를 마친지가 어느덧 8년이나 지났고, 나는 내가 박사과정 학생일 때 어떤 감정을 가지고 있었는지, 어떤 것이 힘들었었는지 더 이상 기억나지 않는다. 지금 그 시절을 돌아보면, 흐려진 기억 속의 즐겁고 아름다웠던 젊은 20대 시절이었다는 것 밖에 생각나지 않는다. 이미 나는 올챙이적 기억을 하지 못하는 개구리가 되어 버렸다. 내가 쓰는 글들은 어쩔 수 없이 내 개인적인 경험에 바탕을 둔 이야기일지 언데, 결국은 ‘내가 해봐서 아는데 말이야’로 시작하는 꼰대질일 수밖에 없을 것 같다. 그래서 글 쓰기가 조심스럽고 겁난다.

그럼에도 글을 쓰는 이유는 숨길 수 없는 꼰대 본능 독자가 알아서 잘 판단하고 흘려들어 주실 것이라 믿기 때문이다. 이 집필 프로젝트에서 세명의 저자가 공통적으로 할 이야기는 아마도 “니 인생이니까 네가 알아서 잘 사세요” 일 것 같기 때문이다. 적어도 내가 할 이야기는 그렇다. 안 그래도 고달픈 대학원 생활인데, 내가 좋아하는 방식으로 내 마음대로 하지 않으면 — 모든 부분을 온전히 내 마음대로만 할 수는 없겠지만 — 더욱더 괴로운 생활이 될 것이다. 주어진 환경 속에서 자기만의 생각 자기만의 방식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하고자 하는 말의 핵심이 잘 전달되기만 한다면, 꼰대질로 느껴질 수 있는 부분은 독자들께서 지나가는 말로 흘려들으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한편으로는 굳이 몰라도 되는 것까지 이야기하려 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마음도 있다. 불필요한 정보로 불필요하게 머릿속을 복잡하게 만드는 건 아닐까 염려스럽다. 때로는 생각을 단순화시켜서 한 가지에 집중할 수 있는 것이 더 좋기 때문이다. 그 부분을 가리는 것 역시 독자께 맡기기로 한다.

대학원 생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람은 지도교수이다. 나는 이미 지도교수의 입장에서 지내온지 벌써 8년이나 되었다. 박사과정 학생으로서 보낸 5년의 기간보다 훨씬 더 긴 세월을 학생의 반대쪽 입장에서 있었기 때문에, 내가 줄 수 있는 조언은 그다지 생생하진 못 할 것이다. 어쩌면 설득력이 떨어질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대학원 선배로써 해줄 수 있는 생생한 조언은 공동 집필을 하시는 두 분께서 잘 해주실 것으로 믿는다.

대학원생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이 책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역할은 역설적이게도 지도교수의 시각을 전달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다른 두 분이 지도교수를 어떻게 정하는 것이 좋을까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하신다면, 나는 교수들은 어떤 학생을 지도하고 싶어 하는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 것이다. 학생과 지도교수의 관계는 굉장히 오묘한 것이어서 흔히 결혼에 비유되기도 한다. 복잡하다면 복잡하고 단순하다면 단순할 수 있는 관계 속에서 학생이 교수에게 쌓이는 불만은 아주 여러 형태가 있을 것이고, 나는 그것의 일부에나마 도움을 주기 위해, 교수들의 생활은 어떠한지, 교수는 어떤 고민을 하며 사는지와 같은 주제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그래서 학생들이 교수의 입장과 생각을 조금이라도 더 잘 이해해서, 좀 더 잘 이용해 먹을 수 있기를 바란다. 그렇다, 대학원은 사실 학생이 교수를 이용해 먹는 곳이다, 아니 이용해 먹어야 하는 곳이다. 자신이 바라는 연구를 위해서 부족한 경험과 지식을 교수에게서 빌려오고 안전한 울타리 안에서 훈련을 해 나가는 곳이다. 나는 내 글이 학생들에게 그런 면에서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나는 2011년부터 ‘잡생각 전문 블로그‘라는 이름으로 개인 블로그에 글을 가끔씩 써오고 있다. 그중 ‘박사과정 학생이 유의해야 하는 점‘을 포함한 글 몇 편이 많은 이들에게 읽히면서 이 책의 집필에 참여하게 되었다. 윤섭 님께서 ‘슬라이드계의 강남스타일’이라 불리는 슬라이드에 내 글을 추천해주셨고, 덕분에 지금까지도 꾸준히 읽히고 있다. 원래 잡스러운 개드립을 날리는 블로그를 꿈궜으나… 아아…

‘박사과정…’ 글이 많이 읽히는 걸 보면서 좀 놀랬다. 따지고 보면 그 글에서 내가 한 말은 딱히 특별할 것도 없고 둘러보면 여기저기서 많은 분들께서 이미 했던 말을 반복한 것뿐이다. ‘자기 주도의 자기 연구’라는 당연하게 들리는 말을 했다. 수업 듣고, 필기하고, 중간고사, 기말고사를 준비하는 등 주어진 문제를 잘 풀어야 하는 ‘공부’라는 것과, 문제조차, 그것도 이 세상에서 아무도 푼 적 없는 문제를, 내가 스스로 만들어야 하는 ‘연구’라는 것은 굉장히 다르다. 많은 이들이 공부와 연구가 완전히 다르다는 것을 깨닫는 과정 속에서 내 글이 어느 정도의 역할을 한 것이 여러 번 읽힌 이유가 아닐까 추측한다.

또 한편으로는 댓글들을 읽으면서 내가 쓰는 글이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고 위로가 될 수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대학원에서 연구하는 이들이라면 누구나가 하는 비슷한 고민들이고, 끝날 때 즈음이면 대체로 비슷한 결론에 도달한다. 다른 사람들도 비슷한 고민을 하고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서로 나누는 것만으로도 글을 읽는 사람도 글을 쓰는 사람도 마음에 큰 위로와 용기가 된다. 학위 과정을 계속해나갈 수 있는 용기, 연구를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 나갈 수 있는 용기가 되고, 학생 지도에 더 힘을 내는데 큰 도움이 된다.

‘박사과정…’ 글을 쓴 것이 벌써 2011년, 5년 전의 일이다. 그 글을 읽었던 박사과정 학생들이 졸업을 했고, 박사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그 글을 읽었던 학생들은 크고 작은 성취를 이루었을 것이다. 몇몇 분들께서 시작할 때 내 글을 읽은 것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몇 년이 지나 다시 댓글로 남겨주셨다. 내 글이 그분들의 성취의 이유였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어차피 박사과정 하다 보면 고민들이 쌓이고 그 고민들 속에서 비슷한 결론들에 도달했을 것이고, 비슷한 성취를 이루었을 것이다. 내 글이 없었어도 원래 다 잘 되었을 일들이다. 진리의 될놈될 다만, 내 글이 그분들께 ‘그래 네 생각이 맞아. 우리 모두 다 같은 의견이다. 네가 생각하는 대로 하고 싶은 대로 한 번 해봐. 네 연구잖아.’ 라며 등 떠밀어 준 역할은 어느 정도 했을 것이다. 이 책에서도 비슷한 일을 하고자 한다.


아이엠 그라운드… 나는 카이스트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했고, 졸업 후에는 생산공학을 전공하는 연구실에서 석사과정 학생으로 한 학기를 지냈다. 수많은 고민들 속에 첫 해 여름을 보냈고, 결국 석사과정을 휴학/자퇴하고 웹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회사에서 자바 프로그래밍 일을 했다. 많은 고민 속에서 가져온 작은 이 변화들이 내게 큰 도움이 되었다. 나는 수학을 잘하지도 못하면서 수학을 좋아했었다. 수학을 전공으로 선택할 용기는 없어서, 수학을 비교적 많이 쓴다고 하는 기계공학을 전공으로 택했었다. 석사과정 첫 해 가을학기를 시작하고 몇 주 후에 휴학을 했었는데, 휴학 전 마지막으로 들었던 ‘광학’ 수업 중에 수학을 떠나보내는 것 같은 마음에 아쉬워서 필기하다 말고, sin x, cos x를 노트에 몇 번이고 끄적였던 기억이 난다. 직장 생활을 하면서, 교과서 밖의 세계를 처음 경험했고, 자연스레 ‘사람’ 혹은 ‘인간’에 대해서 궁금해졌다. 그래서 ‘인간공학’ 전공으로 산업공학과에서 더 공부하고 싶었다.

미국에 있는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의 산업공학과에 인간공학 박사과정 학생으로 입학했다. 웬일인지 첫 학기에 인간공학과는 별 상관이 없는 선형계획법(Linear Programming)이라는 최적화 수업을 듣게 되었다. 선형대수학 등의 수학을 제법 많이 쓰는 수업이다. 그리고 나는 최적화와 관련된 운영 과학(Operations Research)이라는 분야를 내 전공을 택했고, 그중에서도 지도교수님의 지도를 받아 교통(Transportation) 분야의 연구를 했다. 결국 수학을 이용해서 뭔가를 하는데 흥미를 느꼈고 그걸 좋아해서 지금껏 즐겁게 연구하고 있다.

박사학위 후에는 미국 뉴욕주 버팔로라는 도시에 있는 뉴욕주립대학교(State University of New York) 혹은 버팔로대학교(University at Buffalo)라고 불리는 곳에서 7년간 교수로 근무했다. 버팔로는 눈이 아주 많이 오는 곳인데, 기껏해야 눈 좀 내리는 블리자드 마법 공격에 몬스터들이 쓰러지는 이유를 알 수 있는 곳이었다. 2015년부터는 플로리다주 탬파라는 도시에 있는 사우스플로리다대학교(University of South Floria)로 옮겨서 근무 중이다. 여름이면 아주 습하고 더워서 에어컨 없이는 생활 하기가 굉장히 어려운 곳이다. 두 곳 모두 산업공학과이다. 두학교에서 그동안 석사과정 학생 6명, 박사과정 학생 7명을 지도 혹은 공동지도했다. 지금 현재는 박사과정 학생 4명을 지도하고 있고, 다음 학기부터 새로운 박사과정 학생 2명을 더 지도할 예정이다.


이 책을 쓰는 세 명 모두 공학 분야의 연구를 하고 있다는 점은 아쉬운 일이다. 순수 자연과학 분야나, 인문사회 분야, 예술과 체육 관련 분야에서는 또 다른 상황이 있을 수 있고, 지도교수와 대학원생의 관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겠다. 내 전공에서는 대체로 교수와 학생이 1대 1로 만나서 논문 지도를 하고 논문을 쓴다.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그렇다. 내 분야에서 박사 후 과정(포닥)은 흔한 일이 아니다. 나는 5년간의 대학원 생활을 마치고, 운이 좋게도 바로 교수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박사 후 과정이 수년간 계속되는 것이 당연한 전공과 그렇지 않은 전공 사이의 간극은 분명히 존재한다. 생긴지 수천 년 된 학문과 생긴지 몇십 년 밖에 되지 않은 학문 사이의 차이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연구’라는 행위의 본질은 그리 다르지 않을 터이니, 우리 세 명이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 한 번 들어봐 주길 바란다.

사실 나는 내 블로그에서 많은 이야기들을 이미 할 만큼 했다. 다른 이들 역시 비슷한 이야기를 많이 했고, 몇몇 관련 글을 모아두기도 했다. 이 책 중간중간 그 글들을 다시 정리하고 재구성하여 쓰는 일도 있을 것이다. 같은 요지의 글이 반복되는 일이 있더라도 이해 바란다. 세 명의 저자 사이에서도 비슷한 주제의 이야기를 겹쳐서 하는 경우도 있을 터이나 자기만의 방식으로 풀어낼 것이니 한 번 기대를 갖고 봐주기를 바란다.

이 책이 완성되었을 때 어떤 책이 되어 있을지, 굉장히 궁금해진다. 남의 대학원 생활에 감 놔라 배 놔라 하는 이 시대의 대표적인 꼰대서가 될 것인지, 아니면 독자들과 함께 생각해볼 수 있는 여지를 많이 던져주는 좋은 책이 될 수 있을는지 궁금하다. 한 번 두고 볼 일이다.

밑밥은 깔만큼 깔았으니 다음 편부터는 본격적으로 대놓고 꼰대질을 시작하…



* 블로그 내용을 정리하고 다듬어서 책으로 발간하였습니다. 리디북스, 교보문고, Yes24, 알라딘, 반디앤루니스 등의 온,오프라인 서점에서 종이책/전자책 구매 가능합니다.

* 이 글들은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이야기들 페이스북 페이지 를 통해 팔로우 하실 수 있습니다.

- 엄태웅님의 [페이스북], [블로그(한글)], [블로그(영문)]
- 최윤섭님의 [페이스북], [블로그(한글)], [브런치(한글)]
- 권창현님의 [페이스북], [블로그(한글)], [홈페이지(영문)]